전세가율이란? 전세가율 확인하는 방법
높은 금리로 인해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수도권 지역의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곳이100곳이 넘게 생기고 있는데요. 전세가율이 높아지게 되면, 세입자가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있는 깡통전세가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세가율이란 무엇이고 전세가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가율이란?
먼저 전세가율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전세가율은 전세값/매매값 x 100 입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매매가가 11억이고 전세가가 6억이면 전세가율은 54.5%가 되는 것입니다. 이 전세가율을 통해 아파트 매매가격이 비싸네 마네, 전세가가 비싸네 마네 하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투자자들이 이 전세가율을 보고 갭투자를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수치입니다. 전세가율이 높을 때는 적은 돈으로도 갭투자를 통해 아파트를 매수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 간 낮은 금리로 인해 아파트 가격이 치솟으면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50%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었는데요. 이제는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면서 주택 상승기에 전세가랑 맞물려 전세가율이 80% ~ 9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일명 깡통전세라고 불리는 역전세 현상이 생기게되어, 무리한 대출로 집을 구매한 집주인으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받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전세가율이란 무엇이고 전세가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깡통전세가 늘어가고 있는 만큼 세입자분들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전세 거래시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필히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